Pure Data Korea 썸네일형 리스트형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0~02까지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 소개, Pd vs Max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1. [osc~]를 이용하여 소리 내기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1-1. 아르페지어터 만들기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2 예제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2-1. 소리의 시각화 - [array]로 scope만들기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2-2. 소리의 시각화 - [clone] 도형을 복제하여 점선 그리기 Pure Data 한국어 설명서: 02-3. Gem에서의 소리 파형 시각화 더보기 2018 Pure Data Study ********************************************************************************************스터디가 없는 날도 있으니 페이스북 그룹의 이벤트를 '꼭' 참고바랍니다.*********************************************************************************************** 장소 : 미정 시간 : 한 달에 한 번 내용 : Pure data, gem 외 다른 오픈소스 프로그램, 소리와 영상의 상호작용 작품 토의 등 아래는 puredata korea 페이스북 그룹페이지에 있는 소개글입니다. 스터디 소개: Pure Data를 사용하는 한국어 로컬그룹입니다. 2014년 10월부터 .. 더보기 맥과 윈도우에서 Pd-vanilla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운영체제 : OS X 10.10.5/win 10 pd-vanilla 0.47-1 deken으로 설치했다면 사용자 라이브러리 혹은 공용 라이브러리로 다운받아진다 Gem은 startup에서 Gem/Gem으로 추가하면 된다. 하지만 다른 라이브러리는 startup에 추가를 하여도 안되는 경우가 많다. 새로 패치를 짤 때, 1) 오브젝트 박스를 만들고 2) [libraryname]을 써 넣는 방법이 첫째로 있다. 3) 제일 확실한 방법은 [declare -stdpath libraryname]로 선언 하는 방법이다. 4) [libraryname/objectname]을 넣어 각 오브젝트를 쓸 수도 있다.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게 번거롭다면 extended의 후신이자 대안인 purr-data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더보기 스터디 6일차(추가) : pof_ pd로 oF사용하기 pd에서 오픈프레임웤스를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인 pof가 있어 사용해보았다. 소리는 나오지않는다. 사용순서 0. find external로 pof를 찾아 설치함1. [declare -lib pof]로 오브젝트 박스로 선언하여 불러줘야함2. window size는 [pofwin]을 만들고, 메세지 박스로 (window width height)으로 명령을 준다.3. (window 800 400 0)에서윈도우 사이즈 이외의 명령은 1이나 0을 줄 수 있는데, 1은 full screen을 뜻한다. pof의 헬프를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여러가지 기능이 있다.. 메뉴도 만들 수 있고 터치기능도 만들 수 있다. 근데 문제는 이걸 어떻게 껐다켜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그냥 창을 끄면 안될터인데.. 더보기 스터디 6일차 : sample sequencer with gem 패치파일 첨부 이상빈 씨가 [pix] 시리즈를 설명해주었다. (나중에 정리....또르르..) [pix_refraction] : 유리창 [pix_lumaoffset] : (fill 0)을 줘야함 [pix_age] : 옛날 화면처럼 [pix_halftone] : 도트 크기 적용. 도트 돌아간다. [pix_dot]과 유사 [pix_film] [pix_backlight] : [pix_biquad] [gemhead]를 쓸 수록 cpu를 많이 먹는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separator] 써야함 Gem과 sample sezuencer를 연결해 보았다. cube가 카운터에 의해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연출하고,[scopeXYZ~]를 이용해서 파형을 Gem window에 보여지도록 하였다. 기본적인 구조는 같고,.. 더보기 스터디 5일차 이상빈 씨가 gem을 이용하여 라이브 일렉트로닉에 썼던 방법을 알려주었다. [imageVert]는 흰색이 많을 수록 다차원적으로 그래픽을 만들어주는 오브젝트다[pix_metaimage]도 알아보았다. 두번째로는 [tabplay~] 사용법과 [clone] 사용법을 알아보았다. 간단한 패치이지만 첨부파일에 넣어서 업로드한다. [clone]에 대한 설명으로는 이 포스트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pdstorage.tistory.com/23 각기 다른 테이블에 다른 샘플을 넣기 : http://pdstorage.tistory.com/21 더보기 여러 음원을 여러 테이블에 읽기 여러 파일을 여러 테이블에 읽기 **미리 table을 만들어두어야 한다. 나는 10개를 원했고, 카운트는 0~9까지 나오므로 tab0~9라고 테이블 이름을 지정해놓았다. 메세지 박스에 '파일명.확장자'하고 콤마(반점)으로 나눠준다.콤마로 나누어주면, 메세지가 차례대로 나가게 된다.하나가 나갈 때마다, [t a b]를 통해 카운트가 되면서 [pack s f]로 리스트로 만들어진다.이것이 (read -resize $1 tab$2)로 들어가면서 $1에는 파일위치, $2에는 tab$2에 이름을 붙여서 [soundfiler]에서 읽는다. 더보기 Pd study 4일차 몰아서 스터디 했던 내용을 쓰려고하니 기억이 혼재된다. 3일째했던 것이 4일에 했던 것인지 헷갈리지만 포스트 함. 기억나는 순서대로 적어봄. 1) Gem의 full screen2) Gem에서 cube가 나타났다 사라지는 패치 설명 (이건 생략) 3) Gem list를 받아서 복제하는 패치.4) 그리고 range scale 방법. 예를 들어 0~5까지의 범위를 0~127까지의 범위로 측정하고 싶을 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scale해주는 오브젝트를 써도 되지만 그냥 원초적인 방법을 적용해보았다. 5) [imgeVert], [newWave] 오브젝트 6) poly_sampler 1. 첫번째의 Gem의 full screen 관련 이야기. Gem_help에서 패치를 가져왔다.버티컬 라디오의 첫번째 칸은 0을 .. 더보기 Pd study 3일차 이것저것 신경 쓰이는 것들이 있었던데다 너무 게으른 나머지 포스트를 미뤘다. 오늘에야 정리한다. 2016년 10월 29일 토요일에 했던 스터디다. 초보자인 분은 로드뱅의 2.2.4 Miscellaneous을 봐 오기로 했다.그 이후에 Gem을 살펴보았다. 이번에도 좀 너무 훅 들어간 감이 있지만, 그때그때 만들어서 하는 방법도 좋은 것 같다. *2.2.4 Miscellaneous의 대략적인 제목들 2.2.4.1 Sending and receiving2.2.4.1.2 Sending with lists2.2.4.1.3 A series of send lists2.2.4.1.4 Value (이 오브젝트는 잘 안써서 몰랐는데 보낸 뒤 뱅을 주면 아웃풋된다, 쓸만한 곳이 있을 것같다.) 2.2.4.2 Loadban.. 더보기 Pd study 2일차 2일차에 했던 목록을 쭉 보니깐 굉장히 많은 내용을 했던 것같다-_-;좀 천천히 복기하면서 가도 될 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같이 스터디했던 분들은 머리 터지지 않았을까? ㅠㅠ 이하는 이번 스터디의 퀴즈이다. 1) 토글이 순차적으로 켜지고 꺼지는 것을 해보도록한다. 2) 뱅이 순차적으로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을 해본다.2-1) 더 여유가 있다면 뱅 버튼의 색을 바꿔주는 것을 랜덤으로 구현해본다. 가리지 않은 부분이 RGB 를 주는 식이다. 2.2.1.2 Applications 2.2.1.2.1 Two frequencies – two volume levels 2.2.1.2.2 An interval2.2.1.2.3 Random melody2.2.1.2.4 Rounding2.2.1.2.7 Random wit.. 더보기 이전 1 2 다음